반응형

🎸/알고리즘 스터디 5

[ EPPER 2021] 하 문제 모음

# -*- coding: utf-8 -*- # UTF-8 encoding when using korean user_input = int(input()) a=[] for i in range(user_input): a.append(int(input())) def solution(n, arr): arr=sorted(arr) if (n==1): avg=arr[0] else: for i in range(n-1): avg=(arr[0]+arr[1])/2 arr.pop(0) arr.pop(0) arr.insert(0,avg) return avg print("%.6f" %solution(user_input,a)) 답이 추구하는 가장 이상적인 상황은 배열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있는 상태에서 평균을 구해나가는 것이다. 주..

[C/ C언어] BOJ 백준 1094번 막대기 문제

문제출처 www.acmicpc.net/problem/1094 1094번: 막대기 지민이는 길이가 64cm인 막대를 가지고 있다. 어느 날, 그는 길이가 Xcm인 막대가 가지고 싶어졌다. 지민이는 원래 가지고 있던 막대를 더 작은 막대로 자른다음에, 풀로 붙여서 길이가 Xcm인 막대�� www.acmicpc.net #include int main() { int stick; scanf("%d", &stick); int cnt=0 ; //막대기 길이를 이진수로 생각하기 for (; stick > 0;stick=stick/2) { //나머지 1일 때 막대 조각 추가 if (stick % 2==1) cnt++; } printf("%d", cnt); }

[C/C언어] BOJ 백준 2309번 일곱난쟁이

문제 출처 www.acmicpc.net/problem/2309 2309번: 일곱 난쟁이 아홉 개의 줄에 걸쳐 난쟁이들의 키가 주어진다. 주어지는 키는 100을 넘지 않는 자연수이며, 아홉 난쟁이의 키는 모두 다르며, 가능한 정답이 여러 가지인 경우에는 아무거나 출력한다. www.acmicpc.net #include #include #define _CRT_SECURE_NO_WARNINGS int main() { int dwarf[9]; //난쟁이의 키를 담을 배열 int total = 0; //제시된 키의 전체합 int over = 0; //초과한 양 int i, j; //입력받는 부분 for ( i = 0; i < 9; i++) { scanf("%d", &dwarf[i]); total = total + ..

DFS(Depth-First Search),BFS(Breadth-First Search) 개념 정리 - 자료구조 복습

어쨌든 마지막 약자가 Searching 이라 검색 부분에 있을줄 알았는데 자료구조 그래프(1)(2)에 있었다. 호달달.. 그래프란? 모델을 수학적으로 나타내고, → 컴퓨터로 옮겨서 → 그래프라는 자료구조로 나타내는 방식 - 그래프는 정점(vertex)와 에지(edge)의 집합으로 구성 - 정점 집합과 에치 집합의 순서쌍 쉽게 말하면 정점은 꼭지점이고 에지는 꼭짓점을 이은 선 정점이 4개이고 edge도 4개인 그래프 그래프 상에서의 정의는 이렇지만 정점과 에지의 개념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. 정점(Vertex) - 여러가지 특성을 가질 수 있는 객체를 의미 - 노드(node)로 불리는 것이 더 정확 - V(G): 그래프 G의 정점들의 집합 ex) V(위의 그래프)=0,1,2,3 에지(Edge) - 정점들간의..

정렬 그림으로 개념정리(버블정렬, 교환정렬, 삽입정렬, 선택정렬, 쉘정렬, 힙정렬, 퀵정렬, 기수 정렬) - 자료구조, 컴퓨터 알고리즘

정렬(Sorting)? - 리스트나 기록의 요소를 재배열 하는 것 .. 오름차순, 내림차순으로 정렬한다 - 정렬시에는 primary key, secondary key 를 이용하기도 함 왜인지 모르지만 정렬과 탐색은 항상 같이 배운다 ** 아래의 예시들은 모두 왼→오 오름차순 정렬 1. 버블 정렬( Bubble Sort) = 교환 정렬( Exchange Sort) 이름 답게 하나씩 비교하면서 정렬을 하는 방식이다. list[0]과list[1]과 비교 : list[1]이 크면 둘이 바꾸기 → list[1]과 list[2] 비교 : list[2]가 크면 둘이 바꾸기 ... continue 이걸 시작점~ 끝까지 한번 하는게 한 번의 수행 Best case(정렬이 이미 되어있는 상황) : 정렬을 할 필요가 없으니..